Notion은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템플릿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생산성 도구입니다. 그러나 일정 관리 측면에서는 기본 알림 기능이나 외부 캘린더와의 연동이 제한적이라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Google Calendar와 Notion을 연동</strong해 보다 효율적인 일정 자동화를 실현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1. Google Calendar를 Notion에 임베드하는 방법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Google Calendar를 Notion 페이지에 임베드(Embed)하는 것입니다. 이 방식은 직접적인 연동은 아니지만, 한 눈에 Google 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Google Calendar 접속 후, 좌측 메뉴에서 공유하려는 캘린더 선택
- ‘설정 및 공유’에서 ‘공개 URL’을 복사
- Notion 페이지에서
/embed
입력 후, 복사한 URL 붙여넣기
이렇게 하면 Google Calendar가 Notion 페이지에 표시되며, 보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정 수정이나 작성은 Google Calendar에서 직접 해야 합니다.
2. 자동화 툴로 양방향 연동하기 (Zapier, Make 등)
보다 고급 기능을 원한다면 Zapier 또는 Make (구 Integromat) 같은 자동화 플랫폼을 활용해 Notion과 Google Calendar를 양방향으로 연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otion에 일정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Google Calendar에 반영되고, 그 반대도 가능합니다.
주요 사용 시나리오
- Notion에서 새 일정 추가 시 → Google Calendar에 일정 생성
- Google Calendar에 새 이벤트가 추가되면 → Notion의 데이터베이스에 자동 등록
이 방식은 약간의 설정이 필요하지만, 일정을 한 곳에서 관리하고 자동화하려는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단, 무료 플랜에는 트리거 수 제한이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3. Notion 자체 캘린더 기능 활용하기
Notion은 자체적으로도 강력한 캘린더 뷰(Calendar View)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별 일정, 개인 스케줄, 마감일 등을 구조화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캘린더 뷰를 만드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블록 생성
- ‘+ View’ 버튼 클릭 → ‘Calendar’ 선택
- 날짜 속성(Date Property)을 기준으로 캘린더 표시
이 기능을 활용하면 Notion 내부에서 팀별, 태그별, 진행상황별로 일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필터 및 정렬 기능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은 Google Calendar와의 실시간 동기화는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결론: 목적에 맞게 연동 방식을 선택하세요
간단히 일정을 확인하고 싶다면 Google Calendar 임베드 방식이 좋고, 실제 일정 자동화가 필요하다면 Zapier 등 자동화 툴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Notion의 자체 캘린더 기능을 잘 활용하면 Google Calendar 없이도 충분한 일정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업무 스타일에 맞춰 위 방법들을 조합하여 활용한다면 Notion을 일정 관리의 허브로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이 Notion과 Google Calendar 연동을 고민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